팁과강좌
▣ 생활 속 지혜, S/W, H/W Tip 등 다양한 정보들을 공유하는 곳입니다.
▣ 또한 산업공학을 포함한 전문 지식들을 공유하는 장으로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그림과 같이 만약 xe를 root/test03 혹은 root/xe와 같이 설치를 해서 도메인/xe 가 붙는 것을 없애고 싶을 경우 아래의 방법을 사용하세요
방법 #01
1. ftp 로 접속하여 root/xe 폴더 안에 있는 자료를 root로 옮긴다.
2. root\files\config 폴더의 db.config.php를 열어 수정을 한다.
변경전
$db_info->default_url = 'http://tpcuser.com/test03/'; / 수정할 부분
$db_info->use_optimizer = 'Y';
$db_info->qmail_compatibility = 'N';
$db_info->use_ssl = 'none';
$db_info->use_db_session = 'Y';
?>
변경후
$db_info->default_url = 'http://tpcuser.com/'; / 수정된 부분 $db_info->use_optimizer = 'Y'; $db_info->qmail_compatibility = 'N'; $db_info->use_ssl = 'none'; $db_info->use_db_session = 'Y'; ?>
즉 test03을 삭제해준다.
이제 'http://tpcuser.com/ 로 접속하면 test03을 붙이지 않아도 접속이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혹시 이상한 문제 점이 있는 경우 아래 사이트를 참고
http://mylostworld.co.kr/12988
방법 #02
이 경우는 root/test03 폴더를 root로 이동하지 않고 그대로 root/test03에 놔둔 상태일 경우이다.
<html> <head>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utf-8"> <title>홈페이지 타이틀</title> </head> <frameset rows="0%,100%" cols="*" border="0" framespacing="0"> <frame src=" scrolling="NO" frameborder="NO" name="no"> <frame src="/test03/index.php" frameborder="NO" name="main" marginwidth="0" marginheight="0" scrolling="auto"> </frameset> <noframes> </noframes> <body> </body> </html>
frame scr="/test03/ 을 xe 설치 경로로 지정해주면 된다.
단 이경우, test03이라는 주소가 계속 나타나게되니 방법 #01을 추천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