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SCM Lab

팁과강좌

   ▣ 생활 속 지혜, S/W, H/W Tip 등 다양한 정보들을 공유하는 곳입니다.
   ▣ 또한 산업공학을 포함한 전문 지식들을 공유하는 장으로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원격 데스크톱 연결(Terminal Service)                        
원격 데스크톱 연결은 ¨원격 위치에서 컴퓨터의 데스크톱에 연결하여 응용 프로그램을 해당 콘솔 앞에서 실행하듯 사용할 수 있습니다.¨ 라고 정의되어 있다.

쉽게 설명하면, 다른 곳에서 자신의 컴퓨터를 마음대로 사용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학교에서 집의 컴퓨터를 제어하고나 게임방에서 집의 컴퓨터를 제어 할 수 있다. 그 반대도 가능하다. 그렇다면 어느 정도까지 제어가 가능한가? 관리자(Administrator)로 접근을 하게 되면 모든 것을 제어 할 수 있게 된다.


서버, 클라이언트                                                                        
원격 데스크톱 연결(Terminal Service)은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있다. 서버(Server)란 원격 데스크톱 연결을 제공하는 컴퓨터를 말 하고, 클라이언트란 접속을 하는 컴퓨터를 말 한다.

원격 데스크톱 연결의 서버 역할은 Windows 2000 Server 계열, Windows XP Professional 버전, Windows 2003 시리즈가 가능하다. 여기에서는 Windows XP Professional 버전을 이용한 방법을 설명하려 한다.

Windows XP Professional 버전은 서버 개념의 운영체제가 아니다. 그래서인지 동시에 여러 명이 접속을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2000 Server, 2003 Server 시리즈들은 원격 데스크톱 연결로 누군가가 접속해서 사용해도 현재 컴퓨터 사용자는 큰 제약 없이 컴퓨터를 계속 사용 할 수 있다. 그러나 XP Professional 버전의 경우 원격 데스크톱 연결을 사용하면 현재 컴퓨터의 사용자는 컴퓨터를 사용 할 수 없게 된다. 그러니까 서버 시리즈의 OS는 한 컴퓨터를 동시에 여러 명이 사용 할 수 있는데, XP Professional 버전은 그것이 되지 않는다.


XP Professional 설정                                                          
003.gif
바탕화면의 내 컴퓨터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후 속성(R)을 클릭 한다.

002.gif

원격탭에서 원격 데스크톱 - 사용자가 이 컴퓨터에 원격으로 연결할 수 있음(C)을 체크 한다.


004.gif
체크를 클릭하면 경고 메세지가 나온다. 원격 연결을 사용하려면 사용 하려는 계정에 암호가 있어야 한다. 암호가 없다면 암호를 설정 하도록 하자. 그리고 방화벽을 사용한다면 해당 포트를 열어야 한다.
포트는 3389를 사용하며 원한다면 바꿔 사용 할 수 있다.

사용하려는 계정이 Administrator 그룹에 속해 있으면 원격 사용자 선택(S)에서 추가 할 필요가 없지만 다른 그룹에 속해 있다면 추가를 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Windows XP 에서는 Administrator 그룹 외에는 잘 사용하기 않기 때문에 그리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서버 계열의 운영체제에서는 생각을 해 봐야 할 사항이다.

012.gif
위 그림은 Guest 계정에 원격 데스크탑 연결을 허용한 예 이다. 허용하게 하게 되면 소속 그룹에 Remote Desktop Users가 추가 된다. 각 소속 그룹에 관련 된 내용은 Windows XP 에서는 그리 중요하지 않기에 생략 하도록 하겠다.


계정에 암호 지정                                                                              
005.gif
시작 - 실행을 클릭한다.

006.gif

lusrmgr.msc 입력 후 확인을 클릭 한다.

 

007.gif

자신의 계정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 후, 암호 설정(S)에서 자신이 원하는 암호를 설정하면 된다.


IP 확인                                                                                            


008.gif
시작 - 실행 - cmd 입력하고 확인을 클릭하면 위 그림과 같이 명령 프롬프트가 나온다. ipconfig 를 입력하고 Enter키를 누르면 자신의 IP를 확인 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192.168.0.251 이라는 IP를 확인 할 수 있다. IP 번호를 잘 기억 하자.
다른 컴퓨터에서 접속을 할 때 IP번호로 접속을 하게 된다. 그래서 IP번호를 모르면 접속을 할 수 없다. 물론 DNS 같은것을 사용해도 되지만 여러가지 문제가 있기 때문에 IP 번호로 접속하는것이 좋다. 이제 서버로서의 준비는 다 끝났다. 아주 간단하다.

이렇게 설정 후 다른 컴퓨터로 자리를 옮기자.


원격 데스크톱 연결                                                                            

001.gif
시작 - 프로그램 - 보조프로그램 - 통신 - 원격 데스크톱 연결을 클릭한다.

009.gif

원격 데스크톱 연결인 실행 되었다. 컴퓨터(C)에 아까 외워 둔 자신의 컴퓨터 IP를 입력 후 연결(N)을 클릭하면 해당 IP의 컴퓨터로 연결이 된다.

 

010.gif

강좌 작업 관계상 다른 컴퓨터(192.168.0.174)로 접속을 했다. ID와 암호를 입력하면 접속 된다. 이제 부터 해당 컴퓨터를 마음대로 주무를 수 있다.


⊙.⊙                                                                                              
접속 후 컴퓨터를 사용하면 된다. 본인은 이것 처음 해 봤을 때 많이 놀랬다. 어떻게 이런게 가능 할 수 있을까? 정말 놀라 웠다. 정말 놀랍지 않은가? -_-?

011.gif
연결 하기 전에 옵션에서 해상도나 사운드 기타 여러가지를 설정 할 수 있다.
고급 탭에서 LAN(10Mbps 이상)으로 선택 후 접속을 하면 좋지만 인터넷 속도 문제가 있어 모뎀 (56Kbps) 정도를 사용하길 추천한다. 서버와 클라이언트 인터넷의 속도(Up/Down load)가 모두 빠르다면 최상으로 설정해서 사용해도 무난하게 사용 할 수 있다.

013.gif 
 
위 그림은 한 컴퓨터에서 다른 두 컴퓨터로 원격 데스크톱 연결을 했고, 연결 한 컴퓨터 에서 다시 다른 컴퓨터로 원격 데스크톱 연결을 사용 할 수도 있다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부에서 학교 같은 내부 네트워크에 연결 된 다른 컴퓨터를 연결하거나 제어 할 수 없다. 원격 데스크톱 연결을 사용하면 별다른 설정 없이 쉽게 사용 할 수 있다.


정리를 하면서                                                                                                        
정말 강력한 기능이다. 그러나 단점이 있다. 다른 사용자가 접근 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다. IP, ID, 암호를 다른 사람이 알고 있을 경우 그 피해는 정말 엄청나게 될 것이다. 양날의 검 이라고나 할까..

그렇지만 정말 매력적인 기능이다. 학교에서 집의 컴퓨터에 접속을 해서 Winamp를 실행 후 음악을 Play 하면 학교 컴퓨터의 스피커로 집의 컴퓨터에서 Play 되고 있는 음악을 들을 수도 있고, 집에서 학교로 접속을 해서 집에는 없는데 학교에는 있는 비싼 프로그램을 사용 할 수도 있게 된다. 인터넷 속도가 허락된다면 영화를 보는 것도 가능하다. 미래에 초~~~고속 인터넷 시대엔 어떤 일이 가능 할지 기대가 된다.

원격 데스크톱 연결을 사용하게 되면 접속한 IP 주소가 남게 된다. 보안의 문제가 될 수 있는데, 레지스트리 편집기에서 그 기록을 삭제 하면 된다. 그 위치는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Terminal Server Client\Default 이다. 기록 된 위치로 가 보면 접속 했던 IP 주소가 나온다. 그것을 삭제 하면 된다. 그리고 내 문서에 Default.rdp 파일이 생성되고 몇 가지 정보를 저장하게 되는데 파일을 삭제 하면 된다.

원격 데스크톱 연결은 이용해서 그 컴퓨터의 파일을 가져오려고 복사 붙이기를 하면 당연히 안 된다. -_-; E-Mail, FTP, 웹서버, 메신저 같은 것을 이용해서 전송을 해야 한다.

Windows 2000 에서는 Client 프로그램을 따로 다운 받아야 한다. 그리고 다운 받아 설치를 해도 영어판이다. 별로 맘에 들지 않는다. XP에 설치되어 있는 파일을 Windows 2000에 복사해서 사용하면 한글판으로 사용 할 수 있다. 그리고 기능이 2000의 영어판 보다 더 좋다.

내공이 많이 부족해서 쉬운 내용을 어렵게 설명을 한 것 같아 안타깝다. 다음에 여건이 되면 2003 Server에서 사용하는 방법을 올리도록 하겠다. 그러면 다음을 기약하면서... (__)/~



원문 :: CompuZone
출처 ::welchsjam님의 블로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9 ARENA를 이용한 Elevator 만들기 04 file 네오랑 2009.06.24 10422
278 윈도우 탐색기 기본 폴더 변경 방법 file danny 2008.03.27 10390
277 XE에서 SMTP 비밀번호 찾기 등의 메일 인증 (윈도우용 서버) [1] file SCM 2010.05.12 10365
276 [SCM] BEER GAME 비어 게임 file 네오랑 2008.01.18 10316
275 ARENA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예제 - 리모콘 조립라인 file 네오랑 2007.11.04 10310
274 만화책 뷰어 - HoneyView (단일 파일, 무설치) file 네오랑 2007.10.22 10302
273 JW Player 편집하기 01 (컴파일 하기) file SCM 2010.06.01 10167
272 ARENA를 이용한 Elevator 만들기 05 file 네오랑 2009.06.29 10055
271 USB 메모리로 비스타 설치하는 방법 file 네오랑 2007.12.19 10005
270 KETI 소개 및 2010 자동차전장부품기술동향 file 네오랑 2010.06.22 9966
269 ARENA를 이용한 Elevator 만들기 01 file 네오랑 2009.06.18 9966
268 JW Player 워터마크 삭제 및 버튼, 배경 색깔 변경 file SCM 2010.06.01 9965
267 Windows 시작, 종료 빠르게 하기 file danny 2008.05.08 9917
266 ARENA Study Lecture Konkuk file 네오랑 2007.11.14 9864
265 ARENA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연습문제 (2E 4-7, 3E 4-7) file 네오랑 2007.10.07 9728
264 3장 ARENA 길라잡이 - Modeling file 네오랑 2007.10.30 9716
263 SCI, SCI-E 급 저널 리스트 검색 file 네오랑 2010.09.17 9644
» 원격 데스크톱 연결(Terminal Service) - Windows XP file 네오랑 2007.10.09 9595
261 전국 각 지의 기본적인 WIFI 비밀번호 SCM 2010.11.28 9578
260 Install Windows Vista From USB [1] file 네오랑 2008.12.17 94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