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SCM Lab

팁과강좌

   ▣ 생활 속 지혜, S/W, H/W Tip 등 다양한 정보들을 공유하는 곳입니다.
   ▣ 또한 산업공학을 포함한 전문 지식들을 공유하는 장으로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랫만에 포스팅을 합니다.

제목을 정하기가 어렵지만...질의및응답 게시판에 있는 내용 중 일부를 포스팅 하여 봅니다.


관련글 : http://www.scmlab.com/19051

문제요약 : 아래 상황을 애니메이션으로 표현

1. 흙 상차 8분(로더1대필요)----> 2. 덤프가 흙 상차후 성토장까지 이동 15분 ---> 3. 하차 5분(스파터1명필요) ---> 4. 싸이클횟수를 세기위한 카운터(시간값은 없음)---->5. 흙 하차 후 덤프가 상차지점으로 되돌아오는 시간 10분---> 1.번부터 반복


일단 이번에 소개해 드릴 내용은 Transport 등 모듈을 쓰지않고 기본적인 모듈을 활용하여 모델링을 하는 방법에 대하여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물론 시간상 100% 완벽한 것은 아니고 이런식으로 모델링을 하면 되지 않을까???라는 선에서 소개를 마칠까 합니다.


#01 : 모델링 :: example_ani_01.doe


ex_ani_type_01.png



우선 resource는 트럭이지만, 트럭의 움직임을 표현해야 하므로,,, Entity가 움직임을 리소스로 가정하여 모델링하는 것입니다.



#02 : 모델링 :: example_ani_02.doe

ex_ani_type_02.jpg


2번 모델은 1번 모델을 보완한 건데요! 1차 모델은 출발 Station이 2개로 분리되어 있었는데, 이번 모델은 출발 station을 하나로 통일 한 것입니다.


그 이 외에는 동일 합니다.



#03 : 모델링 :: example_ani_03.doe


ex_ani_type_03.jpg


마지막 모델입니다.. 이번에는 시작 시 parking되어 있는 트럭까지 표현을 해보았습니다.


물론 다음 역에서도 트럭이 멈춰져 있는 것을 표현 하기위해서는 출발지와 같은 설정을 해주시면 됩니다. (리소스 상태 변경)


Resource를 Set으로 묶어준다면 모듈 수가 많이 줄어 들겠지만 그냥 이해를 돕기 위하여 set을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결론 :::

이런 식으로 모델링을 할 경우 몇 가지 문제점이 있는데요..


가장 큰 문제점은 순서에 상관없이 겹쳐져서 지나갈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도 있지만...그 보다는 Conveyor나 Transport가 더 간편 할 겁니다.)


하지만 그런 것은 가정(?)을 하거나, 각 트럭마다 이동하는 경로를 별도로 분리해줌으로써 (dummy station)이를 해결 할 수 도 있습니다.


이렇듯이 실제로 분석하는 것과 애니메이션을 위한 로직 구성은 조금 변경 될 수 있으며, 결과 값도 달라 질 수 있습니다.

(물론 동일하게 모델링을 할 수 도 있습니다.)


따라서 상황에 맞게 적당한 가정과 모델링을 병행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너무 모델링이 단순하다고 구박하지 마세요..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