팁과강좌
▣ 생활 속 지혜, S/W, H/W Tip 등 다양한 정보들을 공유하는 곳입니다.
▣ 또한 산업공학을 포함한 전문 지식들을 공유하는 장으로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선 이 강좌를 보시기 전에 아래 강좌를 먼저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ARENA를 이용한 Traffic Signal (신호등) 만들기
이번 시간에는 교차로에서 각 신호에 따른 자동차의 움직임을 제어 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첫번째로 교차로에서 신호에 따라 자동차가 멈추고 출발하는(직진 구간) 간단한 방법이며, 다음시간에는 좌회전을 추가한 ARENA를 이용한 Crossroads (교차로) 만들기 02에 대한 강좌를 할 예정입니다.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아래의 모델링은 도로를 만드는 방법을 제시할 뿐입니다. 실제 프로젝트나 현실 도로를 모델링에 적용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다만 개념을 이해한다면 ARENA를 이용하여 아래와 같은 도로 상황에 관한 프로젝트를 할 때 좀 더 쉽게 접근 하실 수 있을 거라고 생각 합니다.
서론이 너무 길었군요.
지금 부터 모델에 대한 대략적인 모습에 대해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자세한 logic은 첨부한 모델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전체적인 모습은 아래와 같습니다.

Load 01을 자세히 들여다 보면 아래와 같은 Logic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자동차의 움직임을 표현하기 위하여 Conveyor를 이용하였습니다.
Conveyor를 사용한 이유는 ARENA는 Entity가 이동 할 경우 Entity간의 간격 등을 고려하지 않고 이동하기 때문에 실제 도로 상황을 모델링하기에는 적합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였습니다.

즉 Advanced Transfer의 Conveyor에서 Accumulation Length를 설정 해줌으로써 Entity간의 거리를 부여 할 수 있는 것입니다. (실제로는 Entity간의 거리가 아닌 Conveyor 간의 거리겠죠?)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예제 모델을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Crossroads 01 : Traffic_Signal_02.doe
ARENA를 이용한 Traffic Signal (신호등) 만들기
이번 시간에는 교차로에서 각 신호에 따른 자동차의 움직임을 제어 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첫번째로 교차로에서 신호에 따라 자동차가 멈추고 출발하는(직진 구간) 간단한 방법이며, 다음시간에는 좌회전을 추가한 ARENA를 이용한 Crossroads (교차로) 만들기 02에 대한 강좌를 할 예정입니다.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아래의 모델링은 도로를 만드는 방법을 제시할 뿐입니다. 실제 프로젝트나 현실 도로를 모델링에 적용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다만 개념을 이해한다면 ARENA를 이용하여 아래와 같은 도로 상황에 관한 프로젝트를 할 때 좀 더 쉽게 접근 하실 수 있을 거라고 생각 합니다.
서론이 너무 길었군요.
지금 부터 모델에 대한 대략적인 모습에 대해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자세한 logic은 첨부한 모델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전체적인 모습은 아래와 같습니다.

Load 01을 자세히 들여다 보면 아래와 같은 Logic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자동차의 움직임을 표현하기 위하여 Conveyor를 이용하였습니다.
Conveyor를 사용한 이유는 ARENA는 Entity가 이동 할 경우 Entity간의 간격 등을 고려하지 않고 이동하기 때문에 실제 도로 상황을 모델링하기에는 적합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였습니다.

즉 Advanced Transfer의 Conveyor에서 Accumulation Length를 설정 해줌으로써 Entity간의 거리를 부여 할 수 있는 것입니다. (실제로는 Entity간의 거리가 아닌 Conveyor 간의 거리겠죠?)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예제 모델을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Crossroads 01 : Traffic_Signal_02.doe